
5월 14일, 연인끼리 장미꽃을 선물하는 날이라고 합니다. 언제 생겼는지 나는 모릅니다. 궁금해서 검색창에 두드려 봤습니다. 5월 14일 미국에서 꽃 가게를 운영하던 마크 휴즈가 가게 안의 모든 장미를 사랑하는 연인에게 주며 고백했다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명확하지 않답니다.
예전엔 밸런타인데이(2월 14일) 정도만 알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유래가 불분명한 기념일 많습니다. 다이어리 데이(1월 14일), 삼겹살데이(3월 3일), 화이트데이(3월 14일), 블랙데이(4월 14일), 오리 데이(5월 2일), 키스데이(6월 14일), 실버데이(7월 14일), 그린데이(8월 14일), 사과 데이(10월 24일), 가래떡 데이/빼빼로데이(11월 11일)등 입니다.

특히, 14일에 해당하는 기념일은 사랑하는 연인과 관련이 많아 보입니다. 그날을 기념해 사랑을 돈독히 키워나가기 위해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보여 흥미롭습니다. 그중 특히 5월 14일이 젊은 사람들의 재치가 돋보이는 날입니다. 왜냐하면 Rose day인 동시에 Yellow day이기 때문입니다.
알고 보니 4월 14일(블랙데이)까지 연인을 찾지 못한 사람들이 한 달 뒤에 카레를 먹는 날이어서 그렇습니다. 이날 싱글인 젊은 사람들은 노란 옷을 입고 카레를 먹는다고 합니다. 젊은 사람들의 기발하고 낭만적인 감성에 탁월한 유머 감각까지 느껴져 개인적으로 감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14일에 해당하는 기념일을 가만히 살펴보면 상당수가 기업의 마케팅 차원에서 만든 날로 보입니다. 동시에 젊은 소비층을 겨냥해 임의로 만든 날이 많습니다. 소비자 관점에서 보면 하나 같이 구매에 대한 비용 부담을 느끼는 젊은이들이 많을 듯싶습니다. 취업하지 못한 젊은 연인이라면 반감을 느끼거나 상대적 빈곤도 느낄 법합니다.
물론 개개인의 선택에 대한 영역이라 부정적 관점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긍정적으로 보면 이 시대가 만든 문화현상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개개인의 선택에 따라 선물을 주고받는 행동이 문제 될 이유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전통을 이어 온 우리의 세시풍속(오월 단오, 유월 유두, 칠월 칠석, 백중 등)을 소홀히 하는 측면도 있어 보입니다.

어쨌거나 로즈데이가 시대 흐름을 반영한 기념일이라면 취지에 맞게 사랑을 다져가는 게 좋을 겁니다. 다만,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장미는 색상마다 꽃말이 다릅니다. 노란 장미는 완벽한 성취의 뜻도 있지만 질투, 사랑의 감소라는 부정적인 의미도 있습니다. 파란 장미는 불완전한 사랑을 의미한다고 하니 피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댓글